반응형
주거 정책서울주거포털
서울주거포털,주거 정책, 서울시 청년월세, 청년 월세지원, 서울주거포털은 서울시의 주거정책 및 분양/임대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. 내게 맞는 서울시의 주거복지 서비스를 찾아보세요
housing.seoul.go.kr
반응형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서울시 ‘희망의 집수리’ 사업의 신청부터 완료까지 절차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한강버스 무료 탑승 체험 이벤트(+7~8월 운영)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2025년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2차 모집
서울시가 2025년 하반기 ‘희망의 집수리’ 사업 참여 가구를 7월 1일(화)부터 31일(목)까지 모집합니다. 이번 하반기에는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의 반지하·노후 주택 등 취약가구 350가구를 선정해 가구당 최대 250만 원까지 집수리 비용을 지원합니다.
🛠️ 지원 내용
- 대상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자가 또는 임차 가구
- 우선순위: 반지하 거주, 자치구 긴급추천 가구
- 지원금: 가구당 최대 250만 원
- 지원항목(총 18종)
- 벽지, 장판, 단열, 도어, 방수, 창호
- 싱크대, 타일, 천장 보수, 위생기구(세면대·양변기)
- 전기공사(등기구), 보일러, 제습기, 곰팡이 제거
- 환풍기, 페인트, 화재·침수 경보기, 차수판 등 안전시설
📝 신청 방법
- 기간: 2025년 7월 1일(화) ~ 7월 31일(목)
- 장소: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접수
- 필수 서류: 신청서, 신분증, 소득확인서류, 임대차계약서 및 임대인 동의서(임차가구의 경우), 자격확인 증빙 등
※ 2022년 이후 ‘희망의 집수리’ 지원을 받은 가구는 3년 주기 규정에 따라 신청 불가
※ 중위소득 48% 이하 가구는 ‘수선유지급여’ 대상이므로 중복 지원 불가
※ 주택법상 정식 주택만 해당되며, 고시원·무허가 건물 등은 제외
📅 향후 일정
- 8월: 신청가구 대상 심사 및 현장조사
- 9월~: 순차적 집수리 공사 시작
🏠 작년 성과
서울시는 2024년 한 해 동안 1,033가구를 지원하였고, 2009년 이후 누적 2만 1,486가구에 수리 지원을 완료했습니다.
- 수혜자 만족도: 90.2%
📞 문의
- 거주지 동주민센터
- 서울시 주택정책과: ☎ 02-2133-9587 / ☎ 02-2133-7996
- 다산콜센터: 국번 없이 120
**서울시 ‘희망의 집수리’**는 주거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는 실질적인 주거복지 사업입니다. 해당 조건에 맞는 시민이라면 꼭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