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서울시 ‘희망의 집수리’ 사업의 신청부터 완료까지 절차

by lanfu 2025. 7. 2.
반응형
반응형
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한강버스 무료 탑승 체험 이벤트(+7~8월 운영)
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
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2025년부터 수소연료차 구매 시 보조금

2025.06.30 - [분류 전체보기] - 고용24 구직신청 시 특정 기업만 비공개 설정이 가능한가요?

 

서울시 ‘희망의 집수리’ 사업의 신청부터 완료까지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. 전체 과정은 평균 2~3개월이 소요되며, 신청 인원 혹은 공사 시기(예: 겨울 등)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

📝 1단계: 신청 및 접수

  • 언제: 하반기는 2025.7.1~7.31, 동주민센터 방문접수
  • 어디서: 거주지 소재 동주민센터
  • 필요 서류:
    • 신분증, 신청서, 개인정보 동의서
    • 자가 → 등기부등본 / 임차 → 임대차계약서 + 임대인 동의서
    • 소득 증빙(기초생활수급·차상위 등),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
    • 고령자·장애인 해당 시 관련 확인서류 

🕵️‍♂️ 2단계: 자격 심사 및 현장 조사

  • 심사: 소득 기준(중위소득 60% 이하) 및 주택 요건(반지하·노후 등) 충족 여부 확인
  • 현장 조사: 전문가가 방문해 주택 상태, 개선 필요 항목, 자부담 비율 등을 평가 

🎯 3단계: 대상자 선정 및 시공 계획 수립

  • 선정: 지자체 우선순위 기준(반지하, 긴급 추천 등) 반영해 최종 결정
  • 시공계획 수립: 필요한 공종(총 18종) 및 자부담 비율 설정 

🛠️ 4단계: 공사 진행

  • 수행업체 선정: 자치구별로 사회적기업·협동조합 등 공모 방식 배정
  • 사전교육: 시공 이전 품질, 지원금 관리, 민원 대응 교육 실시 

🔍 5단계: 완료점검 및 만족도 조사

  • 품질 점검: 시공 완료 후 현장 확인
  • A/S 보증: 1년간 하자 보수 지원
  • 만족도 조사: 대상 가구 대상 설문 실시, 이후 지자체→수행업체에 대금 지급 

⏱️ 전체 흐름 요약

  1. 방문 접수 → 2. 서류/현장 조사 → 3. 선정 & 시공계획 → 4. 공사 시행 → 5. 완료점검 및 사후관리

✅ 신청 전 확인해야 할 사항

  • 소득 기준: 중위소득 48% 이하 자가 가구는 수선유지급여 대상으로 중복 신청 불가
  • 신청 주택: 주택법상 주택에 한함 (고시원·무허가 건물 제외) 
  • 3년 주기 제한: 2022년 이후 지원받은 가구는 올해 신청 불가 

✳️ 도움이 되는 팁

  • 임차인은 반드시 임대인 동의서 준비해주세요
  • 공사 전 예상 자부담(약 10%)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계획하세요 
  • 시기 전략: 예산 조기 소진 우려 시, 가능한 모집 초기에 신청하는 게 유리합니다 
  • 문의처: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서울시 주택정책과 (☎ 02‑2133‑7996 / 9587), 다산콜센터
반응형

"); wcs_do()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