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국민취업지원제도(청년 일자리 단계별 지원)

by lanfu 2025. 4. 26.
반응형

정책퀴즈

반응형

2025.04.07 - [분류 전체보기] - 608회 정책퀴즈(+청년창업사관학교+1억지원)

청년 일자리 단계별 지원 – 재학·구직·재직 맞춤형 6대 사업 총정리

정부는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재학 → 구직 → 재직에 이르는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하고, 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나섰습니다. 청년들이 학업 중 직무역량을 쌓고, 졸업 후 안정적인 취업과 근속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

1. 재학 단계 – 직무역량 강화 및 일경험 제공

재학 중인 청년에게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통해 미취업 졸업생을 발굴하고,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통해 11만 명 대상 취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K-디지털 트레이닝으로 AI·반도체·바이오 분야 실무교육을 확대하고,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으로 일경험 기회를 6만 8000명으로 확대합니다. 네이버·카카오·현대차 등 청년 선호기업도 참여하며, 메타버스 기반 체험과 학점 연계형 프로그램도 지원됩니다.

2. 구직 단계 – 취약청년 집중 지원

‘장기 쉬었음’ 청년을 포함한 취약계층을 위해 청년도전지원사업국민취업지원제도가 마련되었습니다. 부모교실, 또래지원단을 통해 주변인의 참여를 유도하고, 고용센터 심리상담 3만 2000건 확대, 직업지도 프로그램 1만 명 추가 운영으로 청년의 재도전을 지원합니다. 국민취업지원제도에는 4900억 원이 투입되어 일경험-직업훈련-취업지원 패키지가 제공되며, 미래내일 일경험과 연계하여 취업 연계성을 강화합니다.

3. 재직 단계 – 중소기업 취업·근속 유도

취업한 청년에게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으로 최대 480만 원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근속을 유도합니다. 제조·건설업 등 빈 일자리 업종의 청년 4만 5000명을 대상으로 추가 지원이 이루어집니다. 고졸 청년은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과 연계하여 취업 초기 정착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, 중소기업 구인수요 발굴과 채용박람회를 통해 청년-기업 매칭도 강화됩니다.

정부 대응 및 향후 계획

정부는 고용동향을 정밀 점검하고, 산업·지역별 고용위기 대응을 위해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정책수단을 적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.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통해 기업의 건의를 수렴하고, 5월 경제 6단체와 함께 제도개선도 추진합니다. 중앙부처 직접일자리 사업은 1분기 110만 8000명 채용 실적을 달성했으며, 상반기 목표 120만 명 초과 달성을 위해 집중 관리합니다.

 

청년 일자리 지원제도는 학업 중 실무능력 배양부터 취업 후 근속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정책입니다. AI 교육, 일경험 확대, 구직 취약계층 발굴, 중소기업 장려금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청년층의 안정적 사회 진입을 돕고 있습니다.

 

문의:
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 ☎ 044-215-8530
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 ☎ 044-215-7423

[출처: 정책브리핑 www.korea.kr]

반응형

"); wcs_do();